통도사 일주문을 지나면 우선 눈에 제일 먼저 보이는게 단청 (丹靑)을 하지 않은 전각들이 많다는걸 느낀다 단청은 색채는 다 바래고 희미하게 문양만이 남아 있다 화려한 색채의 단청으로 새단장한 사찰이 아닌... 고찰의 고고함은 사람의 마음을 차분하게 해 준다 도도함으로 다가 오는 시간들이 고소란히 남아서 숙연함을 느끼게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전각을 적멸보궁이라 한다. 적멸보궁은 불상을 모시지 않고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와 정골을 나눠서 봉안한 5대 적멸보궁이 있다. 양산 통도사, 강원도 오대산 중대에 있는 상원사 보궁, 설악산 봉정암, 태백산 정암사, 사자산 법흥사 적멸보궁이 바로 성지로 꼽히는 5대 보궁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신라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唐)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대국통(大國統)이 된 뒤 646년(선덕왕15) 왕명에 따라 창건하였다고 한다. 절의 이름을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인도의 영취산과 통한다는 뜻에서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모신 금강계단(金剛戒壇)을 통해야 득도할 수 있다는 뜻에서 또한 모든 진리를 회통(會通)하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통도사의 의미 통도사의 의미는 크게 3가지를 들고 있다. 불법을 통달하여 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가 그 첫 번째 의미이고 두 번째는 통도사를 감싸고 있는 영취산이 부처님이 설법하시던 인도의 영취산과 모습이 통한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승려가 되려는 사람은 모두 이곳의 금강계단 (金剛戒壇) 을 통한다는 것이 그 세 번째 이유이다. 창건설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15년(646) 자장율사에 의하여 창건된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삼보란 불교 성립의 삼대요소인 불(佛:교주)·법(法:교법)·승(僧:승단)을 뜻하며, 삼보 사찰이란 바로 이들 삼보를 상징하는 사찰을 말한다. 즉, 팔만대장경판을 모신 법보사찰 해인사, 보조국사이래 16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 송광사와 함께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금란가사(금실로 수를 놓은 가사)가 봉안되어 있는 통도사는 삼보의 으뜸인 불보사찰의 위치를 지니게 되었다 통도사를 한국 불교의 으뜸이자 가장 큰 절이라고 칭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으며, 부처님의 진신인 사리가 금강계단에 모셔짐으로 인해 대웅전에는 부처님을 형상화한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다 빈 불단 뒤로 창이 넓게 나 있고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金剛戒壇)이 보인다 적멸보궁 옆에는 구룡신지라는 작은 연못이 있다 통도사의 터는 원래 큰 호수였고 옛날에는 아홉마리의 용이 살았다고 한다 절을 짓느라 호수를 메우면서 여덟마리의 용이 쫓겨가고 한 마리만이 절을 지키며 남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여행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양군의 한국 대나무 박물관 (0) | 2011.06.28 |
---|---|
동해안의 비경(울산) (0) | 2011.06.27 |
맨발로 걸어 본 순창 강천사 (0) | 2011.06.20 |
태화강변은 천천히 걷고 싶은 길 (0) | 2011.06.15 |
태화강 대공원의 초화단지 (0) | 2011.06.11 |